보통 전자제품 사시면 대부분 제품 메뉴얼은 잘 안읽게 됩니다. 귀찮기도 하고, 한번 만져보면 다 알 것을 하는 자만감. 그러다가 난관에 부딪히게 되면 메뉴얼을 어디다가 두었는지 찾게되고 결국 어디 쳐박혀 있는지 찾을 수가 없게되지요. 그래서 엘지 삼성 제품은 회사 홈페이지에 전자 메뉴얼을 올려놓아서 언제든지 찾아볼 수 있게끔 해놨습니다. 것도 자세히... 하지만 중소기업 제품들은 그러한 친절까지는 못해드리는게 대부분일 듯 합니다.
그래서 쿠카TV를 소개하면서 리모컨 기능이라도 잘 정리해 보는 것이 보람이 있을 듯 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부분 저도 제품 메뉴얼을 기초로 이거저거 눌러보면서 감잡을 거라 기대는 많이 하지 마시고 위급시에 써먹으시면 되겠습니다.
쿠카TV의 리모컨 모습입니다. 개인적으로 다른 리모컨에 비해서 좀 있어 보이는 편입니다. 하지만 뒷뚜껑을 여는 순간 플라스틱이구나... 라고 조금 실망하기도 합니다만. 그래도 외관상 잘 만들었어요.
참고로 저희 집은 SKB 셋탑을 사용해서 그런지 안먹는 키가 많더군요.
부족하나마 위 이미지 내 숫자 순서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음소거 : 소리를 안나오게 하는 버튼입니다. 다른 티비나 셋탑 리모컨의 경우 음소거, 조용히, MUTE라는 버튼으로 되어 있지요.
2. 전원 버튼 : 잘 아실거라 믿습니다. -,.-
3. 음성입력(구글 어시스턴트) : 1번 음소거 버튼 위에 보시면 조그만 구멍이 두개 나 있습니다. 이게 마이크인 듯 싶습니다. 여기에 대고 찾고 싶은 컨탠츠나 알고 싶은 정보를 알려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주의하실 점은 너무 가까히 대고 크게 말하시면 음성인식이 잘 안됩니다. 적당한 거리에서 시도해야 합니다. 웹브라우저 정도의 정보는 드리지 않습니다. 날씨, 환율 등 정보 외에는 거의 유튜브 동영상 검색 결과가 나열되는 수준입니다.
4. 키패드 : 채널을 직접 선택하는 키피드입니다.
5. CH List : 셋탑에서는 안먹는 기능입니다. 채널목록을 확인해 주는 버튼이라고 합니다.
6. Source : TV이 외부 입력 소스를 선택하는 키입니다. 다른 리모컨의 경우 외부입력이라고 지정되어 있지요? HDMI, 컴포지트, 케이블, 안테나 등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쿠카TV의 경우 앱 채널도 여기서 바로 선택하게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 무비나 레드불 채널 등 앱도 소스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7. Home : 쿠카TV의 메인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메인화면에서는 앱을 설치할 수도 있고, 설치한 앱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OTT 서비스의 추천작들이 깨알같이 나옵니다. 티비 보다가 이 버튼만 누르면 각종 앱으로 들어갈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쿠카TV 메인화면
8. Menu : 각종 TV 설정할 수 있게 설정으로 들어가는 버튼입니다. 대분류로 비디오, 오디오, 설정, 비밀번호가 TV 설정 메뉴로 나오네요. 각 항목 들어가시면 설정하는 기능들이 나옵니다. 각 세부 항목들은 따로 시간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9. OK : 오케이~~~입니다. 입력 버튼이지요. 컴터로 보자면 엔터버튼
10. 이동버튼 : 항목을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버튼이겠지요?
꿀팁 하나 : 셋탑 방송 나오는데 좌측 버튼을 누르니 인기채널 탑 20이 주주룩 나오네요. 그리고 우측 버튼 누르면 선호 채널이 나옵니다. 즉 내가 자주보는 채널을 설정해 놓은게 나오죠. BTV만 나오나요??
11. Back : 이전으로 돌아가는 버튼입니다. 한단계 앞으로 이동하는 것이지요.
12. exit : 종료 버튼입니다. 백버튼과 헤깔리면 그냥 서비스에서 나가버리지요. 근데 넷플릭스에서 사용해 보면 백이나 종료나 거의 같은 기능을 하는 듯 합니다. 넷플릭스에서 이 버튼을 누르면 넷플릭스가 종료되어야 맞는데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식이죠.
13. Netflex : 넷플릭스 시행하는 버튼입니다. 일명 핫키. 티비 시청하다가 핫키 누르면 바로 넷플릭스로 들어갑니다.
14. Google play : 구글 플레이 핫키입니다. 앱을 설치하는 구글 플레이로 진입하지요. 왜 이 키를 달았는지 별로 효용성은 없는 듯 해요. 걍 유튜브나 다른 유명한 앱 키를 달았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 하긴 안드로이드TV인데 이해해야겠지요.
15. i+ : 이 버튼도 아마 DTV를 수신장치를 통해서 수신하시는 분들에게 해당되는 버튼 같습니다. 셋탑은 먹질 않네요. 아... 먹긴하는데 그냥 2160p UHD라는 표식만 나옵니다.
16 ~17 : 채널 및 볼륨 버튼 : 저보다 잘 아실거라 믿습니다. -,.-
18. MTS : 무엇의 약자인지 친절하게 소개는 안되어 있네요. 역시나 셋탑을 쓰는 저는 먹지 않는 기능입니다. 안테나 연결 시 음성언어를 선택하는 기능이라고 되어 있네요. 누르면 "기능없음"이라고만 뜹니다.
19. Guide : 메뉴얼에 노골적으로 본제품에 동작되지 않습니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_-;;
20. Zoom : 누르면 표준 - 자동 - 줌 - 도트 바이 도트 순으로 모드가 바뀝니다만 표준, 자동, 도트 바이 도트까지는 화면 변화가 없고 줌 모드에서는 화면이 조금 커지는 정도로 변환이 되네요. 별 다른 기능은 아닌 듯 합니다. 어느 한 화면을 자세히 볼 수 있는 모드는 아닌 듯 합니다.
21. CC : 폭스바겐 CC아니구요. MTS를 키고 끄는 버튼이라고 합니다.
22. Sleep : 타이머 기능입니다. 한번 누를때 마다 60분까지는 10분 단위로 올라갑니다. 그리고 90분 120분 이렇게 두단계로 설정 가능합니다.
23. Freeze : 화면만 일시 정지하는 기능입니다. 백그라운드에서는 영상 및 음성은 돌아갑니다. 즉 영상만 스톱됩니다.
24. FAV : 채널 즐겨찾기 기능입니다. 셋탑에서는 먹질 않는 버튼 인듯 하네요. 그럼 앞서 설명한 좌우 이동 버튼과 연동은 안되는 듯 합니다. 셋탑 리모컨으로 즐겨찾기를 하셔야 합니다.
25. R, G, Y, B : 메뉴얼 상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버튼이라고 했습니다만, R, G, Y까지는 아무런 반응이 없구요. B 버튼만 실행이 되네요. B 버튼 누르면 채널 및 편성표 설정 모드가 나옵니다. 여기에서 선호채널을 설정할 수 있군요. 그리고 채널이동 중 편성표 보기설정과 화면해설/자막/수어 방송 사용 설정, 시청 중 인기/선호 채널 리스트 절정/ 음성다중 채널 언어 선택 선택 메뉴가 나오네요.
26. 미디어 콘텐츠 제어버튼 : 되감기, 재생, 빨리 감기, 일시정지, 정지 기능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추가로 #리모컨 페어링 기능도 메뉴얼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TV와 리모컨의 페어링이 끊겼다면 홈버튼과 좌측방향키를 동시에 누르면 리모컨 상단 불이 초록 빛으로 반짝입니다. TV 홈 화면의 위 상단 설정 메뉴로 들어가서 TV BLE REMOTE를 OK 누르면 페어링이 완료된다고 합니다. 처음 TV 설정할 땐 리모컨과 TV가 자동페어링 되어서 이런 절차가 필요 없었는데, 아마도 리모컨 배터리가 소진되었거나 유사시에 이렇게 하라고 제시된 듯 합니다.
이상 리모컨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드렸습니다.다음엔 메뉴의 각 모드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잡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카 TV 채널 삭제 (0) | 2025.01.30 |
---|---|
쿠카 TV 설명 (0) | 2025.01.30 |
쿠카TV 사용법 (0) | 2025.01.30 |
알리 충전 보호 회로 (0) | 2025.01.30 |
전압전류계 연결 배선도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