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카TV인 UC551UHD, UC431UHD와 같이 안드로이드TV 특성 상 안드로이드 OS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숨은 기능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많은 기능에 따른 전문용어 및 설정법도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쿠카TV에는 이-메뉴얼이 내장되어 있어서 그때그때 해당 내용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해놨습니다. 하지만 이 마저도 불편해 보여서 제가 일일히 타이핑 해서 적어봤습니다. 그리고 이 기능들 하나하나 티비에서 찾아서 리뷰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전자 메뉴얼을 이 페이지에 넣습니다. 참고하실 분들은 참고바랍니다.
아마도 제조사의 영문 메뉴얼을 그대로 한글화 하는 바람에 안맞는 단어 선택과 오역이 있는 듯 합니다. 이부분은 최대한 수정했고, 모르는 기능이나 용어는 따로 부가설명까지 달아놨습니다.
▶ Advanced Video(고급 비디오) : 비디오 성능을 위해 고급 기능을 조정합니다
1. DNR : 비디오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합니다.
2. MPEG NR : MPEG 신호를 압축하거나 변환하는 동안 생성된 노이즈를 감소시킴
3. Flesh Tone: 피부색조, 사진의 피부 색조를 조정
4. Adaptive Luma Control :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사진의 루마(조도)를 자동으로 조정
5. Blue Mute : 블루 음소거. 이 옵션이 설정된 경우, 신호가 없을 때 화면은 파란색으로 변하고 소리는 음소거됨
6. DI Film Mode : DI 영화 모드. 동영상이 안정적으로 유연하게 재생되도록 하기 위해 이미지 흔들림을 억제합니다.
7. Blue Stretch : 블루 늘림. 이 옵션을 켜면 매우 밝은 부분과 채도가 낮은 부분이 더욱 파랗게 표시됩니다.
8. Game Mode : 게임 모드. 일부 소스에만 적용되며 이 옵션을 켜면 비디오가 더 부드럽게 재생됩니다.
9. Super Resolution : 슈퍼 해상도. 이 옵션을 켜면 저해상도 이미지를 고해상도와 같이 보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디자인 용어로 sharpen이라고 하지요.
▶ Analog Channel Fine Tune : 아날로그 채널 세밀 조정. (ATV 소스전용) 수신이 좋을 경우, 검색 및 저장 작동 동안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채널을 세밀 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신호가 약하거나 왜곡될 경우 채널을 수동으로 세밀 조정해야 합니다. 화질이 선명해질 때까지 주파수를 ◀/▶ 버튼을 눌러서 조정하십시오
▶ Analog Channel Fine Tune : 아날로그 채널 범위 스캔. (안테나 또는 케이블 소스 전용) 채널 범위 내에서 아날로그 채널을 수동으로 검색하십시오. ◀/▶ 버튼을 눌러서 스캔할 채널을 선택하세요. 스캔을 취소하려면 Back 버튼을 누르고 스캔을 계속하려면 OK 버튼을 누르세요.
▶ Analog Manual Scan : 아날로그 수동 스캔(ATV 소스전용). 아날로그 채널을 수동으로 검색하세요. 시작 주파수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들어가려면 OK 버튼을 누르세요. 시작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검색하려면 Scan Up을 선택하세요. 시작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검색하려면 Scan Down을 선택하세요. 스캔을 취소하려면 Back 버튼을 누르고 스캔을 계속하려면 OK 버튼을 누르세요.
▶ Audio Language : 오디오 언어(일부 소스에 대해서만). 주 오디오 언어 선택
▶ Audio Language 2nd : 2차 오디오 언어(사용할 수 없을수도 있음). 2차 오디오 언어 선택
▶ Active Local Dimming : (일부 모델에만 적용)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백라이트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려면 이 옵션을 켜십시오.
▶ Auto Standby : 자동 대기. 이 옵션을 켜면 몇 분 동안 신호가 없을 경우 TV를 자동으로 끕니다.
▶ Auto Volume Control : 자동 볼륨 컨트롤. 채널을 변경할 때마다 불륨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방송국 신호가 다양하기 때문에 물륨 수준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음.
▶ Back Light : 화면의 백라이트 파라미터 조정
▶ Balance : 오른쪽과 왼쪽 스피커 사이의 사운드 밸런스를 조절
▶ Bass : 사운드의 낮은 소리 주파수 조절
▶ Brightness : 밝기 조절
▶ Caption Setup : 캡션 설정. 일부지역에서만 가능. 캡션 설정을 조절합니다.
▶ Channel Scan : 채널 스캔. DVB-S/S2 소스에 사용 불가함. 채널을 자동으로 검색합니다. 채널 검색을 시작하기 전에 입력 목록에서 원하는 TV 소스를 선택합니다. 스캔을 취소하려면 Back 버튼을 누르고 스캔을 계속하려면 OK 버튼을 누르세요.
▶ Channel Skip/Move/Edit : 채널 건너뛰기/이동/편집. 일부지역에서만 사용 가능. 원하는 채널을 건너뛰거나 이동/편집
▶ Clear Channel List : 채널 목록 지우기. 채널 목록을 지웁니다.
▶ Contrast : 색 대비. 화면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사이를 조정합니다. Contrast가 증가되면 어두웠던 부분은 더 어두워지고, 밝았던 부분은 더 밝아지면서 두 부분이 좀 더 극명하게 대비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Color Temperature : 색온도. 화면의 전체 톤을 원하는 대로 조정합니다.
▶ Device
1. Network : 와이파이와 이더넷 구성을 설정합니다.
Wi-Fi Connection : 와이파이 연결. WLAN 스위치를 열면 검색할 수 있는 와이파이 목록이 표시됩니다. 와이파이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와이파이 비밀 번호를 입력합니다.
Wired Connection : 유선 네트워크 연결. TV의 랜단자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하면 유선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연결됩니다.
참고 : 케이블이 이미 연결되어 있을 경우 와이파이 연결은 사용 해제됩니다.
2. Inputs : 입력. 연결된 입력에 대한 설정, 대기 입력 등
3. Chromecast Built-in : 크롬캐스트 내장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하기 위해 관련 옵션을 설정합니다. 크롬케스트 내장 기능을 사용하여 휴대용 기기나 피씨로 TV의 미디어 재생을 선택하거나 조절할 수 있습니다.
4. Sound : 시스템 사운드와 서라운드 사운드를 원하는 대로 설정합니다.
5. Apps : 다운로드 및 시스템 앱에 대한 권한 설정
6. Screen Saver : 화면 보호기를 선택하고 시작 시간 등을 설정합니다.
7. Storage & Reset : 스토리지 및 재세팅. 기기 및 휴대용 스토리지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값을 기본값으로 재설정합니다. 동시에 Storage & Reset에서 Factory Data Reset(공장 데이터 리셋) 기능을 사용하여 초기 설정을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참고 : Factory Data Reset 기능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모든 내용이 완전히 삭제됩니다.
8. About : TV 세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DTS TruSurround : DTS TruSurround 시스템을 키거나 끕니다
DVB-S/S2 Tuning Setting : DVB-S/S2 소스에만 적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검색하려면 DVB-S/S2 Tuning Setting을 선택합니다. 검색하기 전에 위성 또는 트랜스폰더를 선택한 후에 LNB 설정을 먼저 조정합니다. 채널 스캔을 수행하기 전에 각 위성에 대해 위성 접시 설정을 구성해야 합니다. 관련 설정을 마친 후 BLUE 버튼을 눌러 채널을 검색합니다.
▶ Fast Booting : 패스트 부팅 기능을 켜거나 끕니다.
1. SetUp 설정 메뉴에서 Fast Booting 기능을 끄면 파워를 눌러 TV 전원을 끕니다. TV와 시스템 모두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완전히 꺼집니다. 이런 경우 다시 TV의 정원을 켤 때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2. SetUp 설정 메뉴에서 Fast Booting 기능을 켜고 파워 버튼으로 티비를 끄면 티비는 꺼지나 시스템은 계속 실행됩니다. 이런 경우 다시 티비 전원을 켤 때 시간이 오래걸리지 않습니다.
▶ Gamma : 감마. 원본 화질 밝기 강도를 조정합니다.
▶ General Settings : 일반 설정. 티비의 시스템 설정을 조정하려면 리모콘의 홈 버튼을 눌러 홈화면으로 이동합니다. 홈화면의 아래 왼쪽 부분으로 스크롤하여 Setting 상태로 들어가서 원하는 일반 설정을 시작합니다.
l Device(장치)
1. Network : 와이파이와 이더넷 구성을 설정합니다.
A. 와이파이 연결 : WLAN 스위치를 열면 검색할 수 있는 와이파이 목록이 표시됩니다. 와이파이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와이파이 암호를 입력합니다.
B. Wired connection : 티비의 LAN 단자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하면 유선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연결됩니다.
참고 : 케이블이 이미 연결되어 있을 경우 와이파이 연결은 사용해제됩니다. 유선 연결이 우선함.
2. Input : 연결된 입력에 대한 설정. 대기 입력 등
3. 크롬캐스트 빌트인 : 내장된 크롬캐스트 기능을 활성화 하거나 비활성화 하기 위해 관련 옵션을 설정합니다. 크롬캐스트를 사용하여 휴대용 기기나 피씨로 티비의 미디어 재생을 선택하거나 조절할 수 있습니다.
4. 사운드 : 시스템 사운드와 서라운드 사운드를 원하는 대로 설정
5. 앱 : 다운로드 및 시스템 앱에 대한 권한 설정
6. 스크린 세이버 : 화면 보호기를 선택하고 시작시간 등을 설정합니다.
이외 언급되거나 언급할 Preferences(선호), Remote & Accessories(원격 및 액세서리) 및 Personal(개인) 등과 같은 관련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Smart Features(스마트 기능)에 연결.
▶ ginga 설정 : 일부 지역만 해당. ginga 기능을 켜거나 끕니다. 징가기능이 무언지 뒤져봐도 안나오네요. ㅜㅜ
▶ HDMI 2.0 설정 : HDMI 신호 형식을 선택합니다.
참고 : DVD를 HDMI1 또는 HDMI2 단자에 연결할 때 화면정상, 사운드 없음 문제가 발생시 Single Format(신호 형식) 설정을 4K@60Hz 4:2:0(Menu -> Setup -> HDMI2.0 Setting -> Single Format)으로 변경하거나 DVD를 HDMI3 단자에 직접 연결하세요.
▶ HUE : 색조. 색의 선명도를 조정합니다.
▶ Initial Setup : 초기 설정. 티비 전원을 맨 처음으로 켤 때, 설정 가이드가 표시됩니다. 오케이 버튼을 눌러서 다음 절차를 수행합니다.
1. 원하는 메뉴 언어를 선택
2. 티비 설정을 위해 안드로이드 기기를 사용할지의 여부 선택
참고 : 안드로이드 기기로 티비를 설정하려면 화면상의 지시를 따릅니다. 티비를 설정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기기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다음 작동을 계속합니다.
3. 티비를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연결할지 선택
4. 구글 계정에 로그온 여부 선택
5. 구글 서비스 약관과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읽고 동의
6. 구글 또는 타업체가 귀하 티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지의 여부 선택.
7. 구글이 귀하의 안드로이드 티비 기능 향상을 하도록 할지 여부 선택
8. 국가 선택
9. 우편번호 입력 : 일부 지역만 해당.
10. 소프트웨어 안내문 읽기
11. 티비 소스 선택 : 일부 지역만 해당.
12. 튜너 모드 선택
13. 채널 스캔 시작여부 선택. 아니오 선택시 채널 스캔은 메뉴 설정에서 수행이 가능합니다. 예를 선택할 경우 채널 스캔을 시작하기 전에 안테나를 먼저 연결하니다. 채널 스캔이 완료되면 채널이 메모리에 저장되고 초기 설정이 완료됩니다.
참고 : 맨 처음으로 설정한 후에 초기 설정을 다시 시작하려면 홈화면에서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Setting -> Device 목록 -> 스토리지 및 리셋 -> 팩토리 데이터 리셋
▶ MEMC : 일부 지역에서만 해당. MEMC 기능을 설정합니다.
1. MEMC : 원하는 MEMC 모드를 선택합니다.
2. 데모 : 원하는 MEMC 분할 유형을 선택합니다.
3. Motion Estimate and Motion Compensation : 동영상 보정과 노이즈 개선. 빠른 움직임에서도 120Hz와 동등한 수준의 잔상 없는 깨끗한 영상을 시청. 고해상도 이미지, 최고의 음질 및 원거리 음성 상호작용을 동시에 제공. -> 신문기사 짜집기
▶ Network : 원하는 네트워크 설정 조정
1. Show Privacy Policy : 개인정보 보호정책 표시. 일부지역에서만 해당. 법률을 통해 귀하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려면 티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전에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읽고 동의합니다. 개인 정보 보호정책을 거부할 경우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습니다.
2. WOL(Wake on Lan)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티비를 대기 모드 상태에서 켭니다. 기본적으로 WOL은 꺼진 상태입니다. WOL 기능을 켤 경우 에너지가 더 많이 소비됩니다.
3. WOW(Wake on Wi-fi) : Wi-fi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티비를 대기 모드 상태에서 켭니다. 기본적으로 WOW는 꺼진 상태입니다. WOW 기능을 켤 경우 에너지가 더 많이 소비됩니다.
* 별로 유용한 기능은 아닌듯 합니다만… 찾아봐도 해당 내용이 많지가 않습니다.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을 때만 티비가 켜지게 되는 기능인지… 잘 이해가 안됨
▶ Parental System : 부모 지도 시스템. 초기 암호 0000을 입력하거나 자신의 암호를 입력하여 이기능에 액세스하고 오케이 버튼을 눌러 다음 기능에 접속합니다.
참고 : 암호를 잃어버린 경우 슈퍼암호 8899를 입력해서 해결합니다.
1. Channel Block : 채널 차단. TV 모두 전용. 채널 정보에 따라 특정 채널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제한합니다. ▲/▼ 버튼을 눌러 채널을 선택하고 오케이를 눌러 입력합니다. ▲/▼ 버튼을 눌러 채널을 차단하거나 해제합니다.
2. Program Block : 프로그램 차단. 연령 등급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제한합니다.
3. Input Block : 입력차단. 소스유형에 따라 특정 입력 소스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제한합니다.
4. Change Password : 암호 변경. 부모지도시스템의 암호변경
5. Clean all : 모두 지우기. 부모지도시스템에 지정한 모든 사용자 설정을 지웁니다.
▶ Personal
1. Location : 위치. 티비 위치 정보의 공유 여부를 선택합니다.
2. Security & Restrictions : 보안 및 제한. 티비에 안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합니다.
3. Usage & Diagnostics : 사용 및 진단. 진단 및 사용 데이터를 전송하여 구글이 티비기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거나 허용하지 않습니다.
▶ Picture Mode : 시청 환경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픽처 모드의 최적화를 선택합니다.
▶ Postal Code : 일부 지원. 우편번호 입력
▶ Preferences : 선호 설정
1. Date & Time : 날짜 시간. 자동 날짜 및 시간, 시간대를 선택.
2. Language : 메뉴의 원하는 언어 선택
3. Keyboard : 원하는 키보드 형태 선택
4. Home Screen : 홈 화면의 권장 행과 앱 및 게임 등 선택
5. Search : 앱 검색 기능에 대한 제반 설정
6. Speech : 음성언어, 음성출력, 음성 검색 기능에 대한 설정
7. Accessibility : 청각 장애인 또는 시각 장애인들에게 더 좋은 시청 경험을 제공. 이러한 시청자들의 경우 “시청”은 설명 내용을 보면서 듣는 것 또는 자막을 읽으며 청취하는 것을 뜻합니다. 홈화면에서 다양하게 원하는 접근성을 설정 가능합니다.
참고 : 접근성 설정에서 토크백 기능을 키거나 끄려면 토크백 어시스턴트 기능도 함께 켜거나 끄세요.
▶ Program Recording : 프로그램 녹화. 일부 지역에서만 지원(저작권 문제)
DTV 모드에서 USB 기기가 정확하게 연결된 경우 Rec. 또는 Time-Shift 기능으로 시청중인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습니다.
1. 녹화설정 : 설정 메뉴에서 Recording Setting을 선택하고 녹화기기 관리, 녹화 예약 추가, 시간 이동 기능 재설정 등과 같은 프로그램 녹화 기능을 설정합니다.
2. REC 기능 : 녹화할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동안 오케이 버튼을 눌러 퀵 메뉴에 엑세스하고 REC 기능으로 녹화된 프로그램은 USB에 저장됩니다.
3. Time-Shift 기능 : 시간 이동 기능은 여러분의 시청이 중단되거나 지연될 때 프로그램을 녹화합니다. ▶/∥ 또는 ∥ 버튼을 눌러 재생을 멈추고 Time-Shift 기능을 시작합니다. ▶/∥ 또는 ∥ 버튼을 다시 눌러 일시 정지된 부분부터 프로그램을 계속 재생합니다. Time-Shift 기능으로 녹화된 프로그램은 녹화된 프로그램을 재생하거나 시간 이동 기능을 정지한 후에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참고 :
l 신호가 중단되거나 제거된 경우 녹화가 중단됩니다. 이것은 정상적인 작동으로 프로그램 컨텐츠를 손실할 수도 있습니다.
l 녹화된 파일은 이 티비에서만 재생할 수 있고 복사는 엄격하게 금지됩니다. 고속 휴대용 디스크를 사용하여 HD 프로그램을 녹화하세요. 그렇지 않은 경우 비디오의 재생이 원할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l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 데이터가 손실될 수도 있으므로 USB 스토리지 기기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는 백업하세요. 제조사는 오용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한 손실에 대해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데이터 백업은 소비자의 책임입니다.
▶ Reset Default : 기본값으로 재설정. 메뉴 옵션을 공장 기본값으로 복원합니다. 이 티비에 대한 사용자 설정은 이 기능을 실행한 후에 완전히 삭제됩니다.
▶ Remote & Accessories : 액세서리 추가. 티비에 블루투스 리모콘 패어링을 설정합니다. 다음 패어링 절차는 참조용입니다.
1. 홈 버튼을 눌러 홈화면으로 갑니다.
2. 홈화면에서 설정을 선택합니다.
3. 설정으로 들어가 Remote & Accessories를 선택합니다.
4. 액세서리 추가를 선택하여 액세서리 검색 인터페이스로 들어갑니다.
5. 블루투스 리모콘의 이름이 표시될 때까지 리모컨의 홈버튼과 왼쪽 버튼을 함께 누릅니다.
6. 티비 검색 인터페이스에 블루투스원격 이름을 체크하고 선택
7. 오케이 버튼을 눌러 원격 패어링을 시작합니다.
8. 패어링한 후에 블루투스 원격에 성공적으로 연결되어 사용합니다.
▶ Saturation : 채도. 자체 밝기에 알맞은 색으로 조정합니다.
▶ Screen Moed : 화면 모드. 프로그램 검색 후에만 사용 가능. 원하는 화면 모드를 선택합니다.
▶ Sharpness : 비디오의 선명도를 조정합니다.
▶ Signal Information : 신호정보. DTV 또는 안테나 모드 전용. 현재 신호 정보를 표시합니다.
▶ Single RF Scan : DVB-C/T/T2 또는 안테나 모든 전용. RF 채널을 수동으로 검색합니다. 왼쪽 또는 오른쪽 버튼을 눌러 RF 채널 번호를 선택합니다. 스캔을 취소하려면 백 버튼을 누르고 게속 스캔하려면 오케이 버튼을 누릅니다.
▶ Smart Features : ha 버튼을 눌러 홈화면으로 이동하여 안드로이드 티비의 스마트 기능을 사용합니다. 먼저 티비가 네트워크에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하세요.
티비에 들어 있는 스마트 기능 : 구글플레이스토어 같은 앱 마켓, 미디어 플레이어, 음성 검색. 일반 설정 기능. 네크워크 설정. 라이브티비 등
l 홈화면에 들어 있는 일부 앱은 일부 모델에서 사용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본 설명서에는 홈화면에 들어 있는 모든 기능에 대한 작동 설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l 서버 공급업체가 업그레이드 하거나 자사의 서버를 변경할 경우 일부 앱은 이 티비에서 사용할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l 리모콘이 일부 네트워크 앱과 호환되지 않을 수 있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것으로 본 티비와 무관합니다.
▶ Speaker : 스피커를 켜면 전기 오디오 신호를 해당 소리로 전환합니다.
▶ SPDIF Type ; 일부지역에서만 지원. SPDIF 사운드 출력 형식을 선택합니다. 디지털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단자입니다. 아날로그 연결방식은 음성을 제외한 영상만 구현되므로 추가로 SPDIF단자를 이용해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이 연결방식을 사용하면 스테레오, 돌비 디지털 등의 5.1채널의 사운드 감상을 할 수 있습니다.
▶ SPDIF Delay : SPDIF 사운드 출력 지연 값을 선택
▶ Sticker Demo : 이 기능을 켜면 티비의 주요 기능을 데모로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소매점에서 전시용으로 전시품에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Subtitle : 사용 못할 수도 있음. 자막. 디지털 자막 언어를 선택합니다. 다양한 용도로 자막 유형을 선택합니다.
▶ Teletext :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음. 텔리텍스트 기능의 원하는 설정을 선택합니다.
최근에 연구 개발되어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는 정보 매체(情報媒體). 지극히 짧은 텔레비전 전파의 간격을 이용하여 문자 정보를 전달하는 다중 방송(多重放送)을 말한다. 무선 이외에도 전화 회선이나 폐쇄 회로 TV(CATV)를 이용하기도 한다. 텔리텍스트에는 TV 수상기에 부속 장치를 설치 하여 문자 정보를 TV화면에 비추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는데 팩시밀리와 같이 그 내용을 복사하는 수도 있다.
▶ Time Setup : 시간대와 티비 시간을 설정합니다. 작동이 없을 때 티비를 자동을 끄는 슬립 타이머를 설정합니다. -> 티비 시청 시에 이 티비는 곧 꺼집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것에 대처할 수 있는 메뉴인 듯.
▶ Treble : 사운드의 높은 주파수를 조정합니다.
▶ Tuner Mode :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음. 튜너 모드를 선택합니다.
▶ Type :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음. 다양한 용도에 대해 원하는 오디오 유형을 선택합니다.
▶ Visually impaired :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음. 시각 장애. 맹인 또는 시각 장애인 시청자들을 위해 관려 ㄴ오디오 설정을 조정합니다.
▶ Voice Searching : 음성 검색. 음성 버튼을 눌러 음성 검색을 시작합니다. 이 기능은 굉장히 훌륭하므로?? 좋아하실 겁니다! 음성 검색 기능으로 원하는 것을 쉽고 신속하게 얻을 수 있습니다. 복잡하고 지루한 텍스트를 타이핑하지 않아도 되고 그냥 티비에다가 원하는 것을 말하면 됩니다. 음성 검색 기능을 최대한 이용하려면 홈화면에서 관련 설정을 해야 합니다. 홈 화면의 왼쪽 아래에 있는 세팅에 엑세스 합니다. Preference의 목록에서 Speech를 선택한 후에 음성 검색에 대한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잡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 buck, booster 도착 (0) | 2025.01.31 |
---|---|
쿠카 TV 채널 삭제 (0) | 2025.01.30 |
쿠카TV 리모컨 사용법 (0) | 2025.01.30 |
쿠카TV 사용법 (0) | 2025.01.30 |
알리 충전 보호 회로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