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374 USB-HDD 마운트 mount -t ntfs-3g /dev/sdb1 /media/usb eject /dev/sdb1 cp -r -v /media/hdd3/Netflix/Monarch\ Legacy\ of\ Monsters/ /media/usb/ 2024. 3. 19. Ubuntu Server HDD 상태 root@Gugeosigan:~# smartctl -a /dev/sda smartctl 7.1 2019-12-30 r5022 [armv7l-linux-5.4.268-269] (local build) Copyright (C) 2002-19, Bruce Allen, Christian Franke, http://www.smartmontools.org === START OF INFORMATION SECTION === Model Family: Western Digital Blue Device Model: WDC WD20EZRZ-00Z5HB0 Serial Number: WD-WCC4M2SPCEN1 LU WWN Device Id: 5 0014ee 265352101 Firmware Version: 80.00A80 Us.. 2024. 3. 19. 그누보드 사용법 https://offbyone.tistory.com/194 2024. 3. 17. 글래어 vs 논글래어 https://youtu.be/LbvuIeebxUo?si=Alm3nURHf27ZjsiD 2024. 3. 4. 네이벙 不 드래그 해제 구글 크롬으로...Ctrl+Shift+I 개발자 도구Shift+? Setting Preferences맨 아래 쪽에서 Disable Javascript 체크 후 왼쪽 창에서 필요한 부분 드래그 후 복사 2024. 2. 23. 우분투 22.04 LTS 설치했다가 어제 큰맘 먹고 S12 Pro 에 우분투 22.04 LTS 설치했다가, 포트가 72로 Odroid HC2 서버 포트 문제 탓인지... 요한이 노트북으로 ssh 접속이 아예 안되기에 공부가 좀더 필요하겠다 싶고, 서버로 종일 돌리기엔 거시기해서 diskpart로 날려버렸다. 2024. 2. 17. Diskpart 사용 방법 Diskpart 개념과 사용 방법 안내 Windows OS에서 디스크 파티션을 조작할려면 [컴퓨터 관리]에 있는 [저장소] → [디스크 관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입니다. 하지만 diskpart.exe라는 명령어를 이용해서도 똑같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Diskpart는 파티션 작업 명령어로 실행시 데이터가 삭제되오니 중요 데이터 백업 후 사용하시길 권유드립니다. Diskpart 란? - Windows98이나 Windows ME에서 사용하던 Fdisk를 대체하는 파티션 툴로 동적 디스크를 지원하고, 디스크 관리 스냅인에서 지원하는 것보다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관리 스냅인은 사용자가 실수로 데이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지만, Diskpart.. 2024. 2. 16. 우분투 grub 부팅 순서 변경 /etc/default/grub 파일을 수정하면 GRUB 부팅 순서를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디폴트 부팅할 운영체제를 지정하는 GRUB_DEFAULT 값을 수정하면 됩니다. 편집기로 /etc/default/grub 파일 열어서 $ sudo nano /etc/default/grubGRUB_DEFAULT의 값을 saved로 수정해줍니다. Ctrl + O를 누른 후, 엔터를 눌러 저장하고 Ctrl + X를 눌러 nano를 종료합니다. sudo update-grub 명령으로 설정 변경을 적용시켜줍니다. 이제 터미널에서 디폴트 부팅을 할 운영체제를 선택해 줄 수 있습니다. Windows를 디폴트 부팅 운영체제로 변경하겠습니다. sudo grub-set-default 명령에 Windows의 인덱스 번호인 2을 .. 2024. 2. 16. 우분투 디스크 파티션 설정 https://ubunlog.com/ko/%EC%9A%B0%EB%B6%84%ED%88%AC%EC%97%90-%ED%95%84%EC%9A%94%ED%95%9C-%ED%8C%8C%ED%8B%B0%EC%85%98/ Ubuntu에 필요한 파티션Ubuntu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파티션과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타 관심 사항에 대해 알려드립니다.ubunlog.com https://sangchul.kr/entry/%EB%A6%AC%EB%88%85%EC%8A%A4-Ubuntu-%EC%84%A4%EC%B9%98-%EC%8B%9C-%ED%8C%8C%ED%8B%B0%EC%85%98-%EB%82%98%EB%88%84%EA%B8%B0 우분투를 설치할 때 디스크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파티셔닝)우분투를 설치할 때 디스크 파티션을 .. 2024. 2. 16. 리눅스 시스템 백업하기 (Linux System Backup) 출처 : https://openwiki.kr/tech/linux_system_backup https://www.gooper.com/ss/bigdata/9435 TAR 사용 시스템 전체 백업 tar(Tape ARchive)는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백업 프로그램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틸리티이다. 이 유틸리티는 오래 전부터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어 왔고, 앞으로도 아마 꽤 오랫동안 남아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이 모르고 있지만, tar는 옛날에 사용되던 자기테이프에 파일들을 옮겨 넣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HDD백업용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다. 그런 이유로 tar는 증분 백업기능이 미약하다. 백업에 제외할 디렉토리를 정한다. 쓸모없는 디렉토리와, 백업파일 자신을 꼭 제외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다른 .. 2024. 2. 13. 우분투 서버 mysqld.socket 에러 도저히 방법이 없어 mysql 관련 파일 및 디렉토리( /etc/mysql, /var/lib/mysql 등)도 백업 후 다 날려버리고 새로 설치 후 백업해 둔 sql 파일로 복원해 다행. 재부팅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는데 아닌 듯... Beelink S12 Pro에 우분투 22.04LTS 설치하고 백업해 둔 sql 파일로 복원하면 될려나? 워드프레스... 2024. 2. 12. tulip a14 202401 https://sourceforge.net/projects/evolution-x/files/tulip/14/ 2024. 2. 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