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경방궁하탕

by Oh.mogilalia 2025. 3. 12.

침 맞으러 갔더니 주네. 뭔고 검색해 보니...

주성분
천궁, 반하, 복령, 진피, 청피, 지각, 백출, 감초, 생강
■ 기타첨가제 : 고과당55, 맥아물엿
효능ㆍ효과
한방건강보험용
분류
단미엑스혼합제
용법
한방건강보험용
용량
1회 용량(10g)

한방에서는 담음(痰陰) 증상에 쓴다고 하는데요. 보험약으로 쓸 때는 특히 통증 질환에 많이 처방합 니다. "관절이 쑤시고 아파요." "옆구리가 숨쉴 때 아파요." "어디가 아픈지 딱 짚지 못하겠는데 여기 주변이 다 아파요." 이런 통증에 많이 처방합니다. 소화, 흉통 등의 증상에도 처방합니다.

궁하탕의 적응증으로는 요통, 담 결림, 옆구리 통증, 관절 통증, 기능성 소화 불량, 복통, 흉통, 두근거림, 불면, 어지러움 등이 있습니다.
노인분들에게 많이 처방하는데요. 나이가 들수록 혈액순환이 떨어지면서 담음(痰陰), 습(濕)이 잘 생겨 통증이 생기기 쉽고 소화 기능도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이진탕 (반하 진피 복령 감초 생강) : 담음(痰陰) 제거 + 천궁: 혈액순환, 통증 완화 효과 + 백출: 습(濕)을 제거 + 청피, 지각: 소화 기능 향상

담음(痰陰)이란?
인체 내에 불필요한 수분을 말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으로 콧물 가래 등이 나오는 것도 담음으로 볼 수 있고, 복부의 불필요한 수분이 정체되어 있어 꾸룩꾸룩 소리가 나는 것도 담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담음의 특징은 한 곳에 정체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는 것인데요. 담음으로 인한 통증은 특정 부위를 딱 짚을 수 있게 아픈 것보다는 "여기저기 쑤시면서 아프다" 라고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산제, 연조엑스, 정제 산제란?
산제는 가루약을 말하는 것이고, 연조엑스는 짜먹는 약을 일컫으며, 정제란 알약을 말합니다.

경방궁하탕 치료
경방궁하탕은 각종 병적 수분 정체(담 음)를 동반한 질환으로 인한 소화불량, 복수, 복통, 협 통, 흉통, 관절 염 및 관절통, 요각통, 정신불안증상, 늑 막염, 폐쇄성폐질환 치료에 쓰인답니 다.

경방궁하탕에 주로 쓰이는 상병명. 주로 쓰이는 상병명으로는 소화불량, 상세불명의 복통, 상세불명의 흉통, 좌골신경통을 동반한 요통 처방에 주로 쓰입니다. 이처럼 경방궁하탕연조엑스는 몸 안에 쌓여있고 정체되어 있는 수분을 빼주고,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약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경방궁하탕
-담음치료
담음이란 수독(水毒)으로 기인하는 질환을 총칭하는 말이며, 체내의 진액이 변해서 생기는 병입니다. 동의보감에는 담음으로 인한 모든 병증에 두루 씁니다. 특히 옆구리에 수습이 머물러 있어 열이 나고 아프며 결리는 데, 수음으로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와 축혈증에도 쓰입니다. 삼출성 늑막염으로 숨이 차고 한쪽 가슴이 아픈 데 쓸 수 있으며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고 하니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처방의 질병효능
담음(痰飮)
(1) 넓게는, 체내에서 수액이 순환되지 않고 한 부위에 머물러 생기는 병증.
탁하고 끈끈한 게 담(痰)이고, 묽고 멀건 게 음(飮)임. 풍한습열(風寒濕熱)이 성하여 진액이 폐(肺)·비(脾)·신(腎)의 기능장애로 담(痰)으로 바뀜. 끈끈한 즙이 되어 뱉으면 나오거나, 흉격에 엉겨붙고, 혹은 장위에 머물거나, 경락이나 사지에 있다가 기를 따라 승강하여 온 몸을 상하로 안 가는 데가 없음. 기침, 구역, 오심, 구토, 비격옹색, 현훈, 조잡, 정충, 전광, 한열, 통종(痛腫) 등이 따름.
(2) 담(痰)에 속하는 음(飮). 유음(流飮). 좁게는, 위장에 수음(水飮)이 몰린 것.
음사(飮邪)가 비위(脾胃)에 머물러 발생함. 살진 사람이 갑자기 수척해지고, 흉협이 그득하고, 장간(腸間)에서 물소리가 나고, 심하(心下)가 아주 차고, 멀건 침을 게우며,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기천(氣喘)이 있고, 식욕이 없음. 담음이 사지에 유입되면 어깨와 등이 시리고 아프며, 두 손이 저림. 담은 풍담(風痰), 한담(寒痰), 습담(濕痰), 열담(熱痰), 조담(燥痰)으로 나눔. 음은 유음(留飮), 벽음(癖飮), 현음(懸飮), 담음(痰飮), 일음(溢飮), 지음(支飮), 복음(伏飮) 등으로 나눔.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짜  (0) 2025.03.14
  (0) 2025.03.14
위대장 내시경 완료  (0) 2025.03.12
울산편한내과  (0) 2025.03.05
견과류 구매  (0)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