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제일 처음 안경을 착용한 사람은 조선마지막 왕이였다한다.
분명 새로운 문명앞에 자신을 열기가 쉽지 않았을테데, 20세기를 사는 스타일리스트의 눈으로 보아도 첨단을 겉는 감각이였다.
마르고 각진 얼굴형에 눈썹이 짙지 않은 얼굴을 뿔테에 동그란 테로 장단점을 완벽히 보완해 주었다.
물론 그 시대에는 지금처럼 다양한 디자인이 없어서 고르는데 큰 불편함이 없었을 수도 있었으리라
아침에 눈을 떠 다시 침대로 돌아가기까지 눈이 나쁜 사람에게 안경이란 악세사리라기보다는 실용품에 가까울 것이다.
라식이나 라섹의 인기로 안경을 썼던 이들이 안경을 벗는 시대이며 눈이 좋은 사람들이 스스로의 스타일을 위해 보안경을 찾는 시대이기도 하다. 그저 시력을 재고 몇가지 안경을 골라주는대로 써보는것이 아니라 안경 고르기의 공식을 알려 드릴까 한다.
첫째, 본인의 선택이 최우선이다.
좋은 브랜드의 좋은 디자인의 모델이라고 하더라도 모델마다 특징이 있으며, 패션의 주된 목적인 개성표현에 준해야 한다.
착용자가 자기만의 개성을 표현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자연스러운 본인의 표현이다.
자신의 만족감 혹은 자신의 코디방법등을 자신 스스로 연출하고자 하는것이 자신의 진정한 개성표현이 되는것이다
이에, 부족함이 있다고 느낀다면 좀더 자신만의 장점을 부각을 찾아, 자신만의 개성을 찾아갈 수 있다.
둘째, 스타일을 생각하라
단순히 얼굴형에 국한된것이 아니라 그날의 의상컨셉과 어울리게 표현하는것이 멋스러운 코디법이다.
예를들어, 여성같은 경우 목걸이와 귀걸이와도 매치를 이뤄야 한다. 또한 의상의 포인트, 즉 구두나 스카프
핸드백등 디자인과도 밀접한 관계를 적용해야 한다.
셋째 상황에 따라 연출하라
상대방에게 가장 크게 자신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얼굴에 연출하는것이 아이웨어다
그러므로 장소와 때에 따른 그에 맞는 아이 웨어 연출법이 이미지메이킹의 성공에 이르게 한다.
즉, 안경은 그사람의 패션이며 스타일이다! 최적의 안경을 고르기 위해 철저한 검진은 물론 눈의 위치, 눈썹 짙기,안경 도수, 옷 스타일, 얼굴색 등 모든 것을 고려한다. 얼굴형은 안경 선택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며, 이 밖에 언제 어떤 분위기를 원하는지, 주로 입는 옷은 어떤 스타일인지, 직업은 무엇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그전에, 안경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자!
렌즈 : 안경의 가장 핵심이 되는 중요 요소. 형태과 색 소재로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유행에 따라 렌즈의 크기나 컬러가 다양하게 표현된다.
템플 : 일명 안경다리로 부른다. 템플의 형상각도는 전체 안경의 착용감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템플의 형상각도는 전체안경의 착용감을 결정짓는다.
팁 : 템플의 끝 부분, 안경이 귀에 잘 걸리도록 걸쇠 역할을 한다.
프레임 : 안경의 테두리 안쪽은 렌즈를 둘러싸고 있다.
브리지 : 양쪽 렌즈를 다리처럼 연결해주는 부분이다. 안경 중앙에 위치하므로 작은 요소이나 전체 이미지를 좌우한다. 안구를 연결하는 브릿지는 곡선이 무난하며 직선은 이지적인 느낌을 준다. 브릿지가 길면 미간이 넓어 보이고 짧으면 좁아 보인다.
노즈패드 : 코에 접촉되는 부분, 안경의 전 중량을 이 부분으로 지탱하므로 코와 밀착감이 좋은 패드가 피로감이 덜하다.
A. 계란형 얼굴
모든 스타일의 안경테가 잘 어울린다. 도도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싶다면 사각 프레임 안경테가 적당하다.
세련되고 지적인 분위기를 내려면 끝이 위로 올라간 폭스형 안경테를 고른다.
B. 둥근 얼굴
편한 인상의 둥근형 얼굴은 단순하고 각진 사각 프레임 안경테와 폭스형 안경테가 무난하다. 얼굴과 비슷한 이미지를 낼 수 있는 둥근 테는 피한다. 라운드형 뿔테를 착용하면 귀여운 이미지를 부각할 수 있다.
테 자체가 비교적 두껍고 각진 안경을 고르는것이 얼굴을 날씬하게 보이는 포인트입니다.
C.역삼각형 얼굴
이마가 넓고 턱이 좁은 역삼각형은 차가운 느낌이 든다. 넓은 이마를 커버할 수 있도록 타원형 계열이나 원형 안경테를 착용해 넓은 이마를 커버하는 것이 좋다. 선글라스 테의 윗부분이 강조된 스타일은 넓은 이마를 더욱 강조해 보이므로 가급적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또 사각의 모서리가 둥근 웰링턴형으로 시선을 분산시켜 뾰족해 보이는 턱을 감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D.삼각형 얼굴
좁은 이마와 넓은 턱을 감안해 안경테를 선택해야 한다. 원형보다는 사각형이나 폭스형 안경테가 잘 어울린다. 사각 안경테를 고를 때는 아래보다 윗부분이 넓은 것을 선택한다. 테의 아랫부분이 둥글고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안경이 어울립니다.
윗부분이 강조된 테를 쓰면 얼굴이 좁아보이기도 합니다. 테의 꼬리 부분이 살짝 올라간 나비형 안경이나 선글라스도 세련되게 어울립니다. 또한 눈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는 큰 선글라스도 잘 어울립니다.
E.사각형 얼굴
모서리가 각진 안경테보다는 원형이나 타원형에 가까운 안경테가 적합하다. 굵은 뿔테는 답답해 보이므로 피하는 게 좋다. 대체로 선이 부드러운 안경테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전한 동그라미 안경은 피하십시오. 네모난 얼굴과 동그라미렌즈를 모두 강조하게 될 수 있으므로 역 효과입니다. 사각테는 얼굴의 각을 더욱 강조할테니 당연히 피해야 합니다. 얼굴의 각진 부분과 극단적인 대조를 이루는 둥근 안경만 아니라면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기때문에 부드러운 타원형 계열의 선그라스와 선글라스 양끝이 살짝 올라간 캣아이형이 적합합니다.
F.긴 얼굴
아래로 긴 얼굴을 커버하려면 옆으로 긴 모양의 안경을 써야 시선이 옆으로 분산됩니다. 렌즈의 테두리 중앙 옆부분이 넓게 디자인된 안경을 고르는것도 중요 포인트입니다.
밑이 넓은 원형 안경테가 적당하다. 사각 스타일은 딱딱한 인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얼굴이 길고 갸름하면 안구가 큰 테는 피한다. 금속테 플라스틱테 무테가 모두 잘 어울린다. 얼굴이 더 길어 보이지 않게 렌즈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다.
G 큰바위 얼굴
얼굴이 크고 각진 사람은 안구가 작은 테를 고를 경우 ‘얼굴이 남는다’는 느낌을 주므로 타원형이나 둥근 모양의 큰 테를 고르는 것이 좋다. 또 볼살에 시선이 가지 않도록 안경 다리에 장식이 있는 것을 골라 시선을 잡아둔다.
H.콧대 낮으면 코받침있는 금속테
콧대가 낮고 볼이 통통한 사람의 경우 코받침이 없는 플라스틱 테는 볼에 렌즈가 닿아 불편하므로 코받침이 있는 금속테를 고른다. 안구의 위쪽이 조금 올라간 안경테로 날카롭고 섹시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도 있다.
낮은 코는 특히 안경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낮은코는 노즈패드가 없는 뿔테를 착용할경우 프레임이 볼에 달라붙는다는가하는 피팅감이 떨어진다. 따라서 무리하게 본인의 코에 맞지 않는 플라스틱 프레임을 착용하기 보다는 노즈패드가 있는 안정감 있는 메탈프레임이 적합하다.
I. 긴코는, 코가 길면 나이가 들어보인다.이러한 경우 메탈프레임의 안경보다 볼륨감 있는 뿔테를 권한다. 여기에 시선을 분산싴주는사각프레임을 골라 긴 코를 짧아보이게 하는 착시현상을 유도한다.
J. 복코, 즉 뭉뚝한 코는 부드러운 인상을 심어줄수는 있을지 모르나, 자칫 밋밋해보이는 평범한 인상을 주기 쉽다.둥근코의 이미지에서 탈피해 샤프하고 날렵한 지적인 이미지로 변신하고 싶다면, 가급적 원형은 피하고 차가운 느낌이 드는 사각 프레임의 메탈안경을 선택하는것이 좋다.
K. 매부리코, 이런 경우는 시선이 코로 몰리기때문에 색상이 화려한 뿔테나 투톤프레임의 안경을 선택해 시선을 분산시켜주는것이 좋다. 가급적 위로 시선이 올라가는것이 좋으니 반무테 안경을 선택하는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Tip
안경 트러블 해소하기
1. 머리가 지끈지끈 아픈경우 : 안경도수가 잘못 처방되었거나 안경이 지나치게 무거울 경우, 그리고 안경알과 눈 사이의거리가 너무 멀어도 머리가 아플수 있다.
2. 안경다리 쪽에 자국이 나와있는경우 : 안경다리를 안쪽으로 너무 조여져 있으므로 바깥쪽으로 조금 벌려주어야 한다.
3. 귀 뒤쪽이 아픈경우 : 아픈 다리의 끝 부분의 모양이 잘 맞지 않아서이다. 사람마다 귀의 위치나 생긴각도가 다르므로 잘 맞춰 써야 한다.
4. 코 위에 안경자국이 심하게 나는 경우 : 안경다리가 얼굴보다 짧은 경우이다. 안경이 너무 조여져 있는지 살펴본다.
written by 방송 스타일리스트 윤 혜 미 ( styling_G)
분명 새로운 문명앞에 자신을 열기가 쉽지 않았을테데, 20세기를 사는 스타일리스트의 눈으로 보아도 첨단을 겉는 감각이였다.
마르고 각진 얼굴형에 눈썹이 짙지 않은 얼굴을 뿔테에 동그란 테로 장단점을 완벽히 보완해 주었다.
물론 그 시대에는 지금처럼 다양한 디자인이 없어서 고르는데 큰 불편함이 없었을 수도 있었으리라
아침에 눈을 떠 다시 침대로 돌아가기까지 눈이 나쁜 사람에게 안경이란 악세사리라기보다는 실용품에 가까울 것이다.
라식이나 라섹의 인기로 안경을 썼던 이들이 안경을 벗는 시대이며 눈이 좋은 사람들이 스스로의 스타일을 위해 보안경을 찾는 시대이기도 하다. 그저 시력을 재고 몇가지 안경을 골라주는대로 써보는것이 아니라 안경 고르기의 공식을 알려 드릴까 한다.
첫째, 본인의 선택이 최우선이다.
좋은 브랜드의 좋은 디자인의 모델이라고 하더라도 모델마다 특징이 있으며, 패션의 주된 목적인 개성표현에 준해야 한다.
착용자가 자기만의 개성을 표현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자연스러운 본인의 표현이다.
자신의 만족감 혹은 자신의 코디방법등을 자신 스스로 연출하고자 하는것이 자신의 진정한 개성표현이 되는것이다
이에, 부족함이 있다고 느낀다면 좀더 자신만의 장점을 부각을 찾아, 자신만의 개성을 찾아갈 수 있다.
둘째, 스타일을 생각하라
단순히 얼굴형에 국한된것이 아니라 그날의 의상컨셉과 어울리게 표현하는것이 멋스러운 코디법이다.
예를들어, 여성같은 경우 목걸이와 귀걸이와도 매치를 이뤄야 한다. 또한 의상의 포인트, 즉 구두나 스카프
핸드백등 디자인과도 밀접한 관계를 적용해야 한다.
셋째 상황에 따라 연출하라
상대방에게 가장 크게 자신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얼굴에 연출하는것이 아이웨어다
그러므로 장소와 때에 따른 그에 맞는 아이 웨어 연출법이 이미지메이킹의 성공에 이르게 한다.
즉, 안경은 그사람의 패션이며 스타일이다! 최적의 안경을 고르기 위해 철저한 검진은 물론 눈의 위치, 눈썹 짙기,안경 도수, 옷 스타일, 얼굴색 등 모든 것을 고려한다. 얼굴형은 안경 선택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며, 이 밖에 언제 어떤 분위기를 원하는지, 주로 입는 옷은 어떤 스타일인지, 직업은 무엇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그전에, 안경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자!
렌즈 : 안경의 가장 핵심이 되는 중요 요소. 형태과 색 소재로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유행에 따라 렌즈의 크기나 컬러가 다양하게 표현된다.
템플 : 일명 안경다리로 부른다. 템플의 형상각도는 전체 안경의 착용감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템플의 형상각도는 전체안경의 착용감을 결정짓는다.
팁 : 템플의 끝 부분, 안경이 귀에 잘 걸리도록 걸쇠 역할을 한다.
프레임 : 안경의 테두리 안쪽은 렌즈를 둘러싸고 있다.
브리지 : 양쪽 렌즈를 다리처럼 연결해주는 부분이다. 안경 중앙에 위치하므로 작은 요소이나 전체 이미지를 좌우한다. 안구를 연결하는 브릿지는 곡선이 무난하며 직선은 이지적인 느낌을 준다. 브릿지가 길면 미간이 넓어 보이고 짧으면 좁아 보인다.
노즈패드 : 코에 접촉되는 부분, 안경의 전 중량을 이 부분으로 지탱하므로 코와 밀착감이 좋은 패드가 피로감이 덜하다.
A. 계란형 얼굴
모든 스타일의 안경테가 잘 어울린다. 도도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싶다면 사각 프레임 안경테가 적당하다.
세련되고 지적인 분위기를 내려면 끝이 위로 올라간 폭스형 안경테를 고른다.
B. 둥근 얼굴
편한 인상의 둥근형 얼굴은 단순하고 각진 사각 프레임 안경테와 폭스형 안경테가 무난하다. 얼굴과 비슷한 이미지를 낼 수 있는 둥근 테는 피한다. 라운드형 뿔테를 착용하면 귀여운 이미지를 부각할 수 있다.
테 자체가 비교적 두껍고 각진 안경을 고르는것이 얼굴을 날씬하게 보이는 포인트입니다.
C.역삼각형 얼굴
이마가 넓고 턱이 좁은 역삼각형은 차가운 느낌이 든다. 넓은 이마를 커버할 수 있도록 타원형 계열이나 원형 안경테를 착용해 넓은 이마를 커버하는 것이 좋다. 선글라스 테의 윗부분이 강조된 스타일은 넓은 이마를 더욱 강조해 보이므로 가급적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또 사각의 모서리가 둥근 웰링턴형으로 시선을 분산시켜 뾰족해 보이는 턱을 감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D.삼각형 얼굴
좁은 이마와 넓은 턱을 감안해 안경테를 선택해야 한다. 원형보다는 사각형이나 폭스형 안경테가 잘 어울린다. 사각 안경테를 고를 때는 아래보다 윗부분이 넓은 것을 선택한다. 테의 아랫부분이 둥글고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안경이 어울립니다.
윗부분이 강조된 테를 쓰면 얼굴이 좁아보이기도 합니다. 테의 꼬리 부분이 살짝 올라간 나비형 안경이나 선글라스도 세련되게 어울립니다. 또한 눈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는 큰 선글라스도 잘 어울립니다.
E.사각형 얼굴
모서리가 각진 안경테보다는 원형이나 타원형에 가까운 안경테가 적합하다. 굵은 뿔테는 답답해 보이므로 피하는 게 좋다. 대체로 선이 부드러운 안경테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전한 동그라미 안경은 피하십시오. 네모난 얼굴과 동그라미렌즈를 모두 강조하게 될 수 있으므로 역 효과입니다. 사각테는 얼굴의 각을 더욱 강조할테니 당연히 피해야 합니다. 얼굴의 각진 부분과 극단적인 대조를 이루는 둥근 안경만 아니라면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기때문에 부드러운 타원형 계열의 선그라스와 선글라스 양끝이 살짝 올라간 캣아이형이 적합합니다.
F.긴 얼굴
아래로 긴 얼굴을 커버하려면 옆으로 긴 모양의 안경을 써야 시선이 옆으로 분산됩니다. 렌즈의 테두리 중앙 옆부분이 넓게 디자인된 안경을 고르는것도 중요 포인트입니다.
밑이 넓은 원형 안경테가 적당하다. 사각 스타일은 딱딱한 인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얼굴이 길고 갸름하면 안구가 큰 테는 피한다. 금속테 플라스틱테 무테가 모두 잘 어울린다. 얼굴이 더 길어 보이지 않게 렌즈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다.
G 큰바위 얼굴
얼굴이 크고 각진 사람은 안구가 작은 테를 고를 경우 ‘얼굴이 남는다’는 느낌을 주므로 타원형이나 둥근 모양의 큰 테를 고르는 것이 좋다. 또 볼살에 시선이 가지 않도록 안경 다리에 장식이 있는 것을 골라 시선을 잡아둔다.
H.콧대 낮으면 코받침있는 금속테
콧대가 낮고 볼이 통통한 사람의 경우 코받침이 없는 플라스틱 테는 볼에 렌즈가 닿아 불편하므로 코받침이 있는 금속테를 고른다. 안구의 위쪽이 조금 올라간 안경테로 날카롭고 섹시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도 있다.
낮은 코는 특히 안경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낮은코는 노즈패드가 없는 뿔테를 착용할경우 프레임이 볼에 달라붙는다는가하는 피팅감이 떨어진다. 따라서 무리하게 본인의 코에 맞지 않는 플라스틱 프레임을 착용하기 보다는 노즈패드가 있는 안정감 있는 메탈프레임이 적합하다.
I. 긴코는, 코가 길면 나이가 들어보인다.이러한 경우 메탈프레임의 안경보다 볼륨감 있는 뿔테를 권한다. 여기에 시선을 분산싴주는사각프레임을 골라 긴 코를 짧아보이게 하는 착시현상을 유도한다.
J. 복코, 즉 뭉뚝한 코는 부드러운 인상을 심어줄수는 있을지 모르나, 자칫 밋밋해보이는 평범한 인상을 주기 쉽다.둥근코의 이미지에서 탈피해 샤프하고 날렵한 지적인 이미지로 변신하고 싶다면, 가급적 원형은 피하고 차가운 느낌이 드는 사각 프레임의 메탈안경을 선택하는것이 좋다.
K. 매부리코, 이런 경우는 시선이 코로 몰리기때문에 색상이 화려한 뿔테나 투톤프레임의 안경을 선택해 시선을 분산시켜주는것이 좋다. 가급적 위로 시선이 올라가는것이 좋으니 반무테 안경을 선택하는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Tip
안경 트러블 해소하기
1. 머리가 지끈지끈 아픈경우 : 안경도수가 잘못 처방되었거나 안경이 지나치게 무거울 경우, 그리고 안경알과 눈 사이의거리가 너무 멀어도 머리가 아플수 있다.
2. 안경다리 쪽에 자국이 나와있는경우 : 안경다리를 안쪽으로 너무 조여져 있으므로 바깥쪽으로 조금 벌려주어야 한다.
3. 귀 뒤쪽이 아픈경우 : 아픈 다리의 끝 부분의 모양이 잘 맞지 않아서이다. 사람마다 귀의 위치나 생긴각도가 다르므로 잘 맞춰 써야 한다.
4. 코 위에 안경자국이 심하게 나는 경우 : 안경다리가 얼굴보다 짧은 경우이다. 안경이 너무 조여져 있는지 살펴본다.
written by 방송 스타일리스트 윤 혜 미 ( styling_G)
'희망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살로니카1서 5장 (0) | 2017.02.15 |
---|---|
왜 이리들 망가지는지... (0) | 2017.02.10 |
산티아고 순례길 (0) | 2017.02.07 |
써글 년놈들 (0) | 2017.02.07 |
선글라스 활용법 (0) | 2017.02.04 |